2021년도 ISC 주요 사업 추진성과
사업 추진성과 요약
분류 |
사업명 |
사업내용 |
추진성과 |
고유기능 |
산업인력 현황자료 조사·분석 |
금융·보험산업의 인력현황 분석 및 시사점 도출 |
ㅇ(12월) 4차 산업혁명 진전에 따른 금융IT부문 신규 직무 조사·개발
- ISC 참여기관, 산업계 등에 보고서 공유 |
분기별 이슈리포트 |
금융ㆍ보험업계 인적자원 개발 관련 동향 수집, 분석 |
ㅇ(1Q)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금융소비자 보호
ㅇ(2Q) ESG 금융 동향과 시사점
ㅇ(3Q) 퇴직(예정)자 재취업지원서비스 금융업권 업무담당자 핸드북
ㅇ(4Q) 디지털자산 시장의 성장과 금융산업의 대응 |
일자리 연계 사업 |
금융·보험ISC 청년아카데미 (제12기) |
ㅇ(7월) 취업준비생 대상 금융 직무·취업 관련 정보 및 1:1 취업컨설팅 제공
- 수료자 129명(만족도 4.5/5.0) |
자율기획사업 |
금융ㆍ보험 특화 재취업지원 프로그램 |
전직지원 서비스
업무담당자 교육 |
ㅇ(6월) 금융·보험업계의 전직지원서비스 인식 제고 및 관련 서비스 활성화
- 수료자 17명(만족도 4.0/5.0) |
금융권
퇴직(예정)자 펀드투권인 전환 지원 |
ㅇ(9월, 11월) 실무 중심 교육을 통한 투자권유 Skill-Up 및 재취업 지원
- (부산, 9월) 수료자 16명(만족도 4.8/5.0)
- (수도권, 11월) 수료자 13명(만족도 4.2/5.0)
|
금융권 퇴직(예정)자 강사 양성 |
ㅇ(12월) 실습 위주 개별지도를 통한 금융·보험 분야 강사 양성 지원
- 수료자 18명(만족도 4.8/5.0) |
핀테크기업 대상 소비자보호 과정 |
금융산업 환경변화에 따른 신규 직무능력 제고 지원 |
ㅇ(12월) 전자금융 및 투자자보호 관련 법령에 대한 융복합인재 양성
- 수료자 34명(만족도 4.3/5.0) |
고유기능
산업인력 현황자료 조사·분석
사업 목적
금융·보험 산업동향 및 인력수요 분석 → 인력수요 유망분야 발굴 및 동 분야에 대한 지원방안 제시
ㅇ `21년 현황조사는 금융산업 내 디지털전환 가속화에 따라 금융IT분야 인력수요 및 필요직무 등을 중심으로 조사·분석 수행
추진 방법
IT분야 역량체계인 ITSQF* 기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전문가 의견수렴, 데이터분석 등을 통해 시사점 도출(정보기술ISC와 협업)
* IT Sectoral Qualifications Framework : NCS 기반으로 학위, 자격, 직업훈련, 현장경력 등 다양한 역량요소를 계량화한 IT산업분야 역량 인정체계
결과/제언
핵심 직무인 IT시스템관리, 응용SW개발 및 데이터분석에 대한 훈련운영 계획서, 역량평가 체크리스트를 제시
ㅇ 위 3개 분야 이외 금융IT 타 직무로 훈련·평가체계 확대와 퇴직자 재취업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 필요성을 제기
분기별 이슈리포트
사업 목적
금융ㆍ보험산업 내 인적자원개발 관련 정보·동향을 수집ㆍ분석하여 산업 내 참여기관에 시사점 및 대응방안 제시
발간 실적
① (1분기)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금융소비자 보호
ㅇ 금융·보험산업의 디지털 전환 심화로 비대면 금융서비스 강화 → 대면영업 중심 규제체계에서 예상치 못한 다양한 소비자 보호 문제* 제기
* 금융소외, 비대면채널 분쟁, AI 알고리즘 오류, 개인정보 유출·오남용, 착오거래 등
ㅇ 관련 분야에 대한 업권별 소비자보호 표준교육과정 마련·확산, 상품·서비스 개발인력으로의 교육 확대 및 소비자보호 담당 인력 확대 등을 제언
② (2분기) ESG 관련 금융 동향과 시사점
ㅇ ESG paradigm 확산으로 국내·외의 ESG 인프라도 지속 확충* 중이며,
* 녹색분류체계(Green Taxonomy), 채권발행·공시 가이드라인, 외부평가제도 등
- 금융회사의 ESG 참여 및 투자(자산운용, 상품개발)도 지속 증가 중
ㅇ 단기적으로 자산운용, 상품개발 인력에 대한 ESG 교육 제공*, 장기적으로 ESG교육과정 대학교육 편입, 자격제도 도입을 제언
* [유사 사례] CFA Certificate in ESG Investing(130시간), PRI Academy(25시간)
③ (3분기) 퇴직(예정)자 재취업지원서비스 금융업권 업무담당자 핸드북
ㅇ 퇴직(예정)자에 대한 재취업지원서비스* 확대를 위해 관련 핸드북 제작·배포
* 1000인 이상 대기업의 50세 이상 비자발적 퇴직(예정)자에 재취업지원서비스 제공 의무화
- 관련 교육과정, 성공/실패 사례, 정보획득 방법 등 실무 중심으로 구성하여 현업에서의 동 핸드북 활용도 제고
④ (4분기) 디지털자산 시장의 성장과 금융산업의 대응
ㅇ 민간기관 주도 디지털자산 시장 성장세 지속 중이며, 투자자보호를 위한 규제 정비, 중앙은행의 CBDC 도입도 병행 추진 중
- 글로벌 금융기관 주도로 디지털자산 관련 자산관리, 수탁업무를 시작하였으며 중개 등으로 서비스 범위 확대 중(국내는 수탁업무 중심)
ㅇ 기술, 제도·법령 등에 대한 총괄적 이해에 인력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관련 기관간 협력에 기반한 융·복합 교육체계 마련을 제언
일자리 연계 사업
사업 개요
산업 내 인적자원을 활용한 취업 지원 사업
ㅇ 취업준비생 대상 금융·보험산업 관련 직무탐색, 취업정보 제공
추진 실적
취업준비생(만 35세 이하) 대상 교육 후 수료자 대상 1:1 컨설팅 진행(청년아카데미 1-2기, `21.7월)
ㅇ 금융업종별 직무이해, 취업정보(자기소개서/면접) 등 교육
※ 수료자 129명, 만족도 4.5점(5점 만점 기준, 이하 동일)
ㅇ 수료자 중 45명에 대해 자기소개서 첨삭, 모의 면접 등 1:1 심층 컨설팅 제공
자율 기획 사업
금융ㆍ보험 특화 재취업지원 프로그램
사업 목적
금융기관의 전직지원서비스에 대한 인식 개선 및 퇴직(예정)자에 대한 컨설팅을 통한 구체적 전직계획 수립 지원
※ 금융·보험ISC의 재직자 퇴직인식 보고서(`20.11월)를 통해 전직 준비에 대한 재직자의 낮은 인식, 기업의 전직지원서비스에 대한 준비 미흡 등이 확인
추진 실적
① 전직지원 서비스 업무담당자 교육(`21.6월)
ㅇ 재취업지원서비스 운영 경험 보유기업이 소수*인 점에 착안 → 동 제도 운영주체에 대한 교육 및 운영주체 간 정보교류 네트워크 구축 지원
* 1,000인 이상 기업 재취업지원서비스 제도 운영 비율 : 19.5%(‘19년 사업체노동력조사)
ㅇ 금융‧보험업권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퇴직(예정)자의 재취업 지원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실무교육 및 담당자간 네트워크 구축 지원
- 교육과정은 퇴직자 심리 이해, 취업알선 정보 활용 및 전직지원 운영사례 등으로 구성하여 교육내용을 현장에 바로 적용 가능토록 구성
※ 수료자 17명, 만족도 4.0점
② 금융권 퇴직(예정)자 펀드투자권유대행인 전환 지원(`21.9월, 11월)
ㅇ 지점 영업인력 축소에 대비하여 개인별 금융서비스 수요 증가하고 있는 점에 착안 → 투자권유대행인을 전직 적합 직종으로 선정
ㅇ 교육과정은 금융상품, 고객상담 기법 및 시너지영업 사례 등으로 구성하여 교육내용을 영업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토록 지원
※ [부산(9월)] 수료자 16명, 만족도 4.8점, [수도권(11월)] 수료자 13명, 만족도 4.2점
③ 금융권 퇴직(예정)자 강사 양성(`21.12월)
ㅇ 재직 중 습득한 전문지식을 전직에 활용하는 방안으로 퇴직(예정)자 대상 강사양성 프로그램 기획
- 강의안 작성, 시연 등 실습 위주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전문강사로의 전직 지원
- ISC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운영 후 기업 재취업 지원서비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별 금융기업과 프로그램 공유 예정
※ 수료자 18명, 만족도 4.8점
핀테크기업 대상 소비자보호 과정
사업 목적
핀테크기업 임직원의 금융법령 전반에 대한 이해도 제고 지원
※ 온라인 플랫폼 규제이슈 제기(`21.9월) 이후 핀테크기업의 관련 교육수요에 대응
추진 실적
금융소비자보호법령, 전자금융관련법령, 개인정보보호및 핀테크 혁신 지원제도 등으로 교육과정을 구성·운영(`21.12월)
ㅇ 핀테크 사업 수행에 필요한 법령·제도 전반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
ㅇ 다양한 Case Study를 포함하여 교육결과의 실무활용성 강화
※ 수료자 34명, 만족도 4.3점
핀테크기업 소비자보호 교육과정 교육 사진
21년 금융권 재직, 퇴직(예정)자 대상 강사양성과정사진
강사
수강생 발표